지난번에 사 두었던 인견 중에서 다른 한 원단을 이번에는 칠부 소매이면서 드롭 숄더로 섶과 뒷길이를 달리 해서 언밸런스로 제도한 장저고리입니다. 원단이 워낙 성글어서 입다 보면 바느질 땀이 터질 위험이 있어서 약간 넉넉하게 하고, 뒤판에는 요크를 추가했습니다.
a1
패턴, 재단
통솔과 두 번 접어 박기로 마무리할 계획이라서 오바로크는 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시접은 조금 넉넉히 두었습니다.
트임이 있는 옆선과 소매의 옆선은 두 번을 접어서 눌러 박을 거기 때문에 2.5cm, 밑단은 2 cm씩 두 번을 접어 올려 박을 거기 때문에 4cm, 나머지 시접들은 2cm씩을 주었습니다.
품의 전체적인 여유는 좀 더해서 살짝 넉넉한 사이즈로 제도했고, 진동도 많이 내려 편안하게 제도했어요.
몸판의 옆선과 소매의 옆선은 아래쪽에 트임을 낼 거라 두 번씩 접어서 다려 두었습니다.
몸판 바느질
앞판은 언더 암 다트를 진동과 너무 가까워져 암홀로 옮겨서 안쪽에서 박고, 시접은 위쪽으로 보내어 다렸어요.
등솔은 안끼리 마주대고 0.5cm 간격으로 먼저 박은 다음 , 박은 선을 반대 방향으로 접어 다려서 시접의 남은 분량 1.5cm를 박고 시접을 입었을 때 오른쪽으로 보내어 다렸습니다.
그다음은 요크를 박는데, 요크는 두 장으로 계획했으니까 몸판을 중심에 두고, 앞 뒤로 한 장씩 겉이 안쪽으로 가게 해서 완성 선대로 박아 겉쪽에서 시접을 정돈하여 다렸습니다.
안단은 심지를 붙이지 않았고, 안쪽 라인은 두 번을 접어서 눌러 박은 다음 몸판과 통솔 바느질을 했어요. 안 끼리 마주대고 박고, 다시 겉끼리 마주대고 박은 거지요~ 다음은 어깨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통솔 바느질로 연결합니다.
밑단은 나중에 해도 되지만 소매가 없는 상태에서 하면 훨씬 가벼운 바느질이 되지요. 접어 둔대로 눌러 박을 건데, 단 모서리 끝은 완성 끝을 안쪽에서 박아 접어 넣으면 깔끔해서 그렇게 정리하고, 트임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도 다 눌러 박아서 고정시킵니다.
박은 선들은 한 번 다 다려서 잔주름을 없애줍니다.
소매는 옆선부터 해결하는데, 몸판의 트임처럼 동일한 방법으로 바느질했어요. 옆선의 트임 윗부분을 박고 시접을 정리해서 밑단을 몸판의 모서리 처리하는 방법처럼 동일하게 정리를 하고 시접분을 눌러 박았습니다.
그리고 이즈 없이 소매와 연결했는데, 여기도 마찬가지로 통솔 바느질을 했습니다. 드롭 숄더라 소매에 이즈는 없어야 합니다.
깃이 남았는데요~
깃은 싱을 넣지 않았습니다. 한 장으로 길게 시접까지 계산해서 재단하고, 안쪽 접히는 선을 겉끼리 마주대고 박아서 시접을 안깃 쪽으로 보내어 다리고 누름 상침을 합니다. 겉깃의 완성선을 다린 다음 뒤 목 점부터 시작해서 깃을 몸판에 앉힙니다. 손바느질로 공그르기 하듯 시쳐서 몸판과 임시로 연결하고 꿰맨 자리를 벌려 완성선을 따라 한 바퀴 쭉 박아 줍니다. 실밥을 정리하고, 남은 시접도 정리합니다.
깃 바느질
일반적인 저고리를 만들듯이 깃 폭 분량만큼 앞판 시접을 채워서 깃을 세웠습니다. 그 분량이 충분해서 심지를 쓰지 않았어요.
안 깃은 겉깃 키 보다 0.7cm 정도 넓게 잡아 반 바이어스 바느질을 하고, 깃을 바로 잡은 다음 겉쪽에서 숨은상침으로 마무리를 했어요.
고름은 짧고 얇게 했는데, 싱은 넣지 않았고, 겉이 마주 보도록 다려 박아서 뒤집어 만들었습니다.
2cm~ 2.5cm 정도의 폭이 보기에 괜찮은 것 같네요. 길이는 50cm 내외가 적당해 보이고요~ 안 고름도 비슷한 수준인데, 2cm 폭으로 길이는 45cm 정도로 만들었습니다.
겉 고름은 깃머리 끝과 반대편은 키를 맞춰서 옆선에 박았고, 안 고름은 안깃 머리에 긴 고름을 달고, 짧은 고름은 제비 부리 댕기 바느질로 꿰매어 왼쪽 겨드랑이 점에 기둥을 만들어 손바느질로 엮어서 달았습니다.
까슬까슬해서 아주 시원한 인견 장저고리가 완성됐습니다.
뒷자락, 앞자락의 키를 달리하고, 양 앞자락도 키를 달리해서 리드미컬한 언밸런스가 참 재미있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