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입을 만한 재킷인데, 안감의 뒤 중앙이 미어져 터져서 다른 안감을 연결해서 덧대는 안감의 품을 늘리는 수선입니다. 겉감에 탄성이 꽤 있는 편인데, 안감은 전혀 그렇지가 않아서 사이즈의 여유가 없으면 아무래도 손상이 생길 수밖에 없겠지요.
a1
안감 뜯기
이 상황은 안감의 중앙 부분에 손을 대는 게 가장 바람직해 보입니다. 가운데에 원단을 보태서 이을 거라 원래 있는 바늘땀을 뜯어 내는데, 바느질하기 용이하도록 여유 있게 더 연장해서 뜯었습니다.

그리고 헤진 안감을 매끈할 정도로 다듬어 잘라 냅니다. 최대한 적게 잘라 내도록 신경을 써야겠지요. 가운데가 터져 있는 이때 왼쪽 소매의 안감에 창구멍을 만들어 놓습니다. 뒤집을 수 있을 정도로 뜯어 내면 되겠지요.
다른 원단 대기
같은 색의 안감이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 일부러 구입을 하지 않고 있는 내에서 하려다 보니 적당하지가 않았지만 최대한 비슷한 색으로 골랐습니다.

직각으로 재단하지 않고 마름모꼴로 재단했습니다. 위의 안단과 만나는 부분과 아래 단과 만나는 부분은 제한적으로 늘릴 거고 가운데쯤은 좀 더 늘려도 무리가 없어서 그런 모양이 되었네요.
양쪽 키를 맞춰서 옆선을 먼저 박았습니다. 그리고 위에는 안단과 연결해서 박고, 아래는 접어 올린 재킷의 밑단과 맞추어 박았습니다.
새발 뜨기
그리고 만들어 두었던 창구멍을 통해 뒤집고 아래 밑단에 접힌 안쪽에 핀을 촘촘히 꽂았습니다. 새발 뜨기를 하기 위함이지요.

다시 안쪽으로 뒤집어서 고정시켜 놓은 단을 손바느질로 새발 뜨기를 합니다. 물론 겉에서 표가 나지 않도록 살짝씩 떠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왼쪽 안감의 창구멍은 시접을 접은 상태로 겉에서 눌러 박아서 막았습니다.
어쩌면 디자인이라 생각할 수도 있는 수선이었네요. 이런 경우 원단에 패턴이 있거나 아주 다른 색으로 이어도 아주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반짝 들었습니다.
a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