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레자라고들 하는 인조가죽과 면으로 고무신 모양의 실내 덧신을 만들기입니다. 뒤꿈치도 따로 넣고, 코를 살짝 살려서 고무신의 느낌을 살려서 만들어 보겠습니다.
a1
패턴
발 모양을 따라 바닥을 먼저 그리고, 옆 면을 그려서 살짝 다트를 넣어 m.p를 시키고 뒤꿈치 분량을 분리해서 골로 만들어 삼각형 모양으로 떼어 냈어요.
밀림 없이 바느질하기 편하게 발바닥 감의 앞쪽과 뒤쪽의 가운데를 정하고, 바닥과 몸판에 5cm 간격으로 나치 표시를 했어요. 왼쪽 오른쪽을 구분하지는 않았습니다. 양쪽을 똑같이 만들어도 불편함이 없어요.
겉감, 안감 몸판 바느질
바느질은 겉감의 뒤꿈치부터 시작했습니다. 뒤꿈치 옆선과 옆 몸판의 시접끼리 박는데, 한쪽을 먼저 하고 반대쪽을 순차적으로 박았습니다.
그리고 가름솔로 다립니다. 우마에 올리고 다리면 다리기가 훨씬 편리합니다.
앞 가운데 라인을 박을 때는 꺾어지는 부분에서는 살짝 두 땀 정도 더 올려 박고, 꺾고 나서는 원래 완성 선대로 자연스럽게 내려오면서 박았습니다. 그리고 끝 부분의 시접을 잘라 내고 마찬가지로 가름솔로 다립니다.
안감도 동일하게 바느질합니다.
단 한 가지 다른 점은 뒤꿈치의 윗부분에 고무줄을 넣었어요. 9cm로 잘라서 옆 솔기에 맞춰서 양쪽에 눌러 박았습니다.
겉감 안감 합치기
겉감과 안감을 합치는데요, 입구부터 바느질합니다.
겉감 안감의 겉끼리 마주대고 솔기를 기준으로 딱 맞춰서 핀으로 고정합니다. 이때 솔기의 끝을 삼각형 모양으로 베어 내면 시접이 날렵해져서 완성도가 좀 더 좋아집니다.
그렇게 고정한 상태에서 완성 선대로 한 바퀴 박고, 입구의 앞쪽 각진 두 곳은 가위 집을 넣어 줍니다.
그리고 뒤집었습니다.
층이 나지 않도록 편평하게 솔기를 정리해서 다립니다. 한쪽에 핀을 꽂고 살짝 당기면서 다리면 정돈이 잘 됩니다.
입구 모두를 그렇게 다린 다음 트여 있는 밑 라인을 안 끼리 마주 댄 상태에서 합칩니다. 핀으로 듬성듬성 고정하고 큰 땀수로 박아서 고정합니다.
다음은 발바닥을 이어줍니다. 먼저 겉감의 발바닥을 연결합니다. 겉감의 겉과 바닥의 겉이 만나게 정돈해서 핀으로 고정하고 빙 둘러 박아 줍니다.
그러면 안감의 바닥만 남은 거지요.
지금까지 만든 상태로 겉이 안쪽으로 가게 하고 몸판을 가운데로 몰아넣어요. 그리고 그 위로 안감의 바닥으로 덮었습니다. 그리고 테두리 완성 선을 박는데, 뒤집을 창구멍은 남겨야 합니다. 한 9cm~ 10cm 정도는 남겨놔야 뒤집기가 수월해요.
창구멍을 남기고 박은 상태에서 시접 정리를 합니다. 반 정도는 잘라내는 게 좋습니다. 창구멍은 손바느질을 할 거라 너무 적으면 곤란해 지니까 그 부분은 자르지 않고 그대로 두었어요.
그리고 뒤집는 거죠. 뒤집어 정돈하고 남은 창구멍을 시접 분량만큼 접어서 손 바느질로 공구르기를 해서 막아 줍니다.
이렇게 인조 가죽 레쟈로 면과 믹서 해서 실내용으로 고무신의 냄새가 흠씬 풍기는 편안한 덧신이 완성되었어요.
뒤꿈치에 고무줄을 넣어서 헐렁거리지도 않고, 모양도 예쁘게 살았네요.
a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