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생활 한복으로 참 유연하면서도 탄성이 꽤 있어서 가볍게 입을 수 있는 7부 소매의 진달래빛 분홍색 홑겹 저고리 만들기입니다.
길이는 엉덩이를 가릴 정도이고, 옆 트임을 주어서 아주 슬림해 보이는 디자인이에요.
패턴, 재단
패턴은 잰 품에 기본 정도의 여유를 넣어서 그렸고, 홑겹이라 안단까지 재도 했습니다.
뒤판의 등솔은 통솔 바느질을 했습니다. 안끼리 마주대고 노루발 한쪽 넓이만큼의 약 0.5cm로 박은 다음, 뒤집어 층이 나지 않도록 다려서 이번엔 안 끼리 마주대고 0.7cm~ 0.8cm 정도의 폭으로 박아 처음 박은 실밥이 보이지 않도록 합니다. 그리고 밑단은 시접의 두께감을 줄이기 위해 밑단의 완성선을 맞춰서 가위 집을 넣고, 단 부분은 방향을 바꿔서 다려 접어 올렸어요. 이렇게 하면 확실히 시접의 부담을 많이 덜게 됩니다. 제가 종종 사용하는 방법이지요. 이로 인해 자그마한 부분이지만 바느질의 퀄리티를 조금이라도 올릴 수 있습니다.
앞판은 옆선에 언더 암 다트만 박아주면 됩니다. 옆선에서 시작해 유듀점에서 끝을 내는데, 원단 끝까지 박고 조금 더 연장해서 박은 다음 실 끝도 조금 남기고 잘라냅니다. 되박기를 하지 않는 겁니다. 되박기를 하면 쪼그라들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오목하게 될 수가 있어요. 다트 바느질은 이렇게 하는 게 좋습니다.
안단과 밑단 바느질
안단에는 실크 심지를 붙였습니다. 그리고 몸판에서 떨어지게 되는 안단의 바깥쪽 선엔 반 바이어스를 칩니다.
바이어스 감은 일반적인 T/C, 양장용 안감으로 정 바이어스 방향을 잡아 3cm 폭으로 잘라서 기역 자로 이어 박아 시접을 편 다음 다려서 만들었습니다. 정 바이어스 방향을 잡을 땐 올을 맞춰 직각으로 접으면 45도의 정 바이어스 방향이 됩니다.
안단의 겉 쪽에서 0.5cm 폭으로 잘라 놓은 바이어스와 겉끼리 마주대고 박고 다려서 안쪽으로 넘긴 다음, 겉쪽에서 바이어스 선을 따라 숨은상침을 하면 됩니다.
밑단의 시접은 끝의 완성선을 겉끼리 마주대고 접어 안쪽에서 박고 뒤집어 단계적으로 접어 넣어 깔끔하게 처리합니다, 그리고 트임 선까지 한 번에 밑단을 눌러 박았습니다.
소매의 단도 등솔 바느질했던 것처럼 통솔로 옆선을 처리하고, 밑단도 뒤판처럼 시접을 나누고 접어 올려 박았습니다.
깃과 고름 만들기
깃에는 안단처럼 실크 심지를 한 장을 붙였고, 겉 깃엔 아사싱을 한 장을 더 댔습니다.
몸판에 앉힐 때는 뒤 목 점 부퍼 손 바느질로 시침해서 몸판에 고정시키고, 깃을 벌려 시침한 실 선을 따라 박아 가며 실을 끊어 주었습니다.
그러면 실밥을 정리할 때 훨씬 수월해집니다. 겉 깃의 머리는 손 박음질로 고정시켰고, 안깃의 완성선엔 안단의 끝처리처럼 반 바이어스 작업을 했습니다. 안깃의 마무리는 새발 뜨기로 했어요. 이렇게 깃 바느질을 하면 의뢰하시는 거의 모든 분들이 만족해하십니다.
겉고름은 1.5cm 폭으로 얇고 짧게 만들었고, 안 고름은 2cm 폭으로 긴고름 길이가 약 40cm, 짧은 고름이 35cm로 했습니다.
겉고름의 긴 고름은 깃머리와 몸판의 중간에 걸쳐서 박았고, 짧은 고름은 옆선에 맞춰서 박았습니다.
안 고름의 긴 고름은 안깃 머리에 비스듬히 박았고, 짧은 고름은 겨드랑이에 손 바느질로 실 루프를 만드는 형식으로 기둥을 세워 달았습니다.
아주 가볍고 편안한 생활한복 중에서 7부 소매의 저고리가 완성됐습니다.
계절에도 딱 맞아 보이네요.
홑겹이라서도 더 가볍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