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이 보이는 8부 리넨 바지의 통 줄이기와 허리 고무줄이 너무 쪼여서 최대한 늘리기로 해서 허리 고무줄을 바꾸는 수선입니다.
요즘 입기에 아주 적절한 원단의 바지이지요.
밑단 뜯기
바지 기장을 줄이기로 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밑단은 그대로 살릴 겁니다. 그래서 밑단은 보전해야 합니다. 휘갑치기 되어 있는 밑단의 안쪽 부분을 먼저 뜯어 냈어요.
면도칼을 이용하면 아주 간단하게 해결이 돼요. 그러나 자칫하면 구멍이 생길 수 있으니까 조심할 필요는 있지요. 먼저 다리고 면도 칼로 실밥을 긁어내듯 베어 내면 편리하면서도 위험 부담이 훨씬 줄어듭니다.
밑단을 뜯고 나서는 무릎 선을 정합니다. 보통 10부 바지일 경우는 다리 부분만 반을 접은 다음, 접은 부분으로부터 위로 5cm 올린 지점을 무릎선으로 잡는데, 이 바지는 8부 정도의 바지이기 때문에 절반으로 잡았어요. 어색하거나 큰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휘어지는 부분의 시작점으로 기준을 잡는 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통 줄이기
정한 무릎선을 기준으로 줄일 양을 체크합니다. 대나무자의 폭 정도니까 2.5cm 정도가 되겠네요.
샅 부분은 건드리지 않고 서서히 줄어들게 무릎 선을 향해 곡자를 이용해서 그리고, 그 아래로는 일반적이 일자 자로 그렸습니다.
그린대로 안쪽에서 박고, 휘갑치기를 하면서 남는 시접을 잘려 나가도록 정리했어요.
그리고 뒤집어서 시접을 뒤쪽으로 보내고 다립니다. 그다음은 밑단의 끝을 다시 휘갑치기를 해서 접어 올려 핀으로 고정시키고 휘갑치기를 한 선을 따라 눌러 박아 주었어요.
고무줄 바꾸기
고무줄은 창구멍이 보이지 않아서 뒤 중심선을 뜯어서 창구멍을 만들고, 허리 위쪽에 고무줄과 물려 있는 상침 바느질선을 뜯어 낸 다음 뺐습니다.
고무줄을 뺀 상태에서 바지 허리의 최종 사이즈를 확인하고, 늘리기로 했으니까 그보다는 조금 적게, 원래 있던 고무줄보다는 좀 더 길게 해서 길이를 정하고 잘랐습니다. 옷핀을 이용해서 고무줄을 꿰고 창구멍으로 처음과 끝을 연결해서 겹치게 두 줄로 박고, 다시 창구멍으로 넣어 벌어져 있는 창구멍을 살짝 겹치게 한 다음 눌러 박아 막아주었어요.
뒤 중심은 창구멍을 막으면서 고무줄도 물려 같이 박아져서 고정이 되어 있으니까 거기는 두고, 허리 벨트의 앞 중심쯤과 양 옆선을 세로 방향으로 박아서 고무줄이 뒤집히지 않도록 고정했습니다.
댓글